카테고리 없음

순천에서 광주 부산가는 버스시간표

ozia6 2025. 4. 3. 10:40
순천에서 부산가는 버스시간표 조회

 

순천에서 광주가는 버스시간표 조회하기 ▶

 

 

순천종합버스터미널 소개
1. 개요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동에 위치한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순천시민들과 순천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편리한 교통편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종합버스터미널입니다. 이곳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터미널로, 순천을 중심으로 수도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강원권 등 전국 각지로 이동할 수 있는 중요한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건립 배경 및 변천사
순천지역의 버스 운행을 담당하는 터미널의 역사는 1975년, 전라남도 순천시 매곡동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당시 ‘순천고속버스터미널’이라는 명칭으로 개장하여 운영되었으며, 당시에는 상대적으로 이용객이 많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순천의 인구 증가와 교통 수요의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터미널의 확장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순천시는 더 넓고 체계적인 시설을 갖춘 새로운 터미널 건립을 추진하였으며, 2008년 8월 20일, 현재의 위치인 순천시 장천동으로 이전하여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이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운영을 시작하였습니다. 이와 동시에 기존의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을 통합 운영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터미널 관리가 가능해졌습니다.

 



3. 터미널 구성 및 시설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총 2층 건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 **부지 면적은 3,367.84㎡**에 달합니다. 터미널 내부에는 다양한 편의시설과 승객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대기실: 241.40㎡ 규모의 대기실이 마련되어 있어, 승객들이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쾌적하게 머무를 수 있습니다.

개찰구: 총 11개의 개찰구가 운영되고 있어, 많은 승객들이 몰리는 시간대에도 원활한 탑승이 가능합니다.

주차장: 터미널 이용객들의 편의를 위해 총 2,204㎡ 규모의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어, 자가용을 이용하는 방문객들도 불편 없이 터미널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현재 운영 상황 및 주요 노선
2023년 현재,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하루 평균 약 3,700명의 이용객이 방문하는 곳으로, 순천을 중심으로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다양한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① 고속버스 노선
순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여러 지역으로 향하는 고속버스 노선이 운행되고 있습니다. 2019년 10월 기준, 주요 운행 노선 및 배차 횟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서울 방면: 하루 24회 운행

부산 방면: 하루 8회 운행

부산 서부 방면: 하루 10회 운행

동대구 방면: 하루 4회 운행

수원 방면: 하루 7회 운행

인천 방면: 하루 5회 운행

인천국제공항 방면: 하루 4회 운행

통영 방면: 하루 5회 운행

② 시외버스 노선
순천종합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도 운행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을 비롯해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등 전국 각지로 연결되는 노선이 마련되어 있어, 승객들이 목적지에 따라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 노선: 5개 노선 운행

강원권 노선: 3개 노선 운행

충청권 노선: 2개 노선 운행

영남권 노선: 13개 노선 운행

호남권 노선: 40개 노선 운행

이처럼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전국으로 이어지는 폭넓은 버스 노선망을 갖추고 있어, 많은 승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중요한 터미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5.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의 역할과 미래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단순한 교통시설을 넘어, 순천과 전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 허브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라남도의 대표적인 관문 역할을 하며, 인근 도시 및 전국 각지로 향하는 승객들의 이동 편의를 돕고 있습니다.

또한, 터미널 현대화 이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졌으며, 이용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순천종합버스터미널은 쾌적한 환경과 효율적인 운영 시스템을 유지하며, 더욱 발전된 터미널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