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불국사 입장료 주차장 조회
경주 불국사 주차장 입장료 조회하기 ▶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 자락에 자리한 **불국사(佛國寺)**는 신라 불교문화의 정수이자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고찰 중 하나로, 찬란했던 신라의 정신과 예술이 집약된 사찰입니다. 이 사찰은 **신라 경덕왕 10년(751년)**에 당시의 재상이었던 **김대성(金大城)**이 발원하여 창건을 시작하였으며, 김대성 사후에도 그 공사는 계속되어 **혜공왕 10년(774년)**에 완공되었습니다. 불국사의 창건은 그의 전생과 현생의 부모를 위한 불심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로 인해 극락세계를 지상에 구현하고자 하는 염원이 건축 전반에 담겨 있습니다.
불국사는 이후 수백 년 동안 신라 불교문화의 중심지로서 역할을 해왔으나, 조선 선조 26년(1593년) 임진왜란 때 왜군의 침입으로 인해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는 아픔을 겪게 됩니다. 그나마 일부 건물인 극락전, 자하문, 범영루 등이 간신히 남아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사찰의 본래 위용은 상당 부분 훼손되고 말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훼손에도 불구하고 불국사는 다시금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1969년부터 1973년까지 대대적인 발굴조사와 복원작업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복원 작업은 단순한 건물 재건을 넘어 통일신라 시대의 건축미와 불교적 상징성을 되살리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 결과 불국사는 다시금 한국 전통건축의 백미로 손꼽히게 되었습니다.
불국사 경내에는 국보로 지정된 주요 문화유산들이 다수 존재합니다. 우선 **극락전 앞에 위치한 다보탑(多寶塔)**은 신라의 독창적인 조형미가 극대화된 대표적 석탑으로, 섬세하고 장식적인 구조가 특징입니다. 이에 반해 그 옆에 자리한 석가탑(釋迦塔), 즉 삼층석탑은 간결하고 정제된 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두 탑은 서로 대조적이면서도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미감을 자아냅니다. 이 두 석탑은 통일신라 불교건축의 철학과 미학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걸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국사로 오르는 청운교와 백운교, 극락전으로 향하는 연화교와 칠보교 역시 국보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네 개의 석계단 다리는 하늘로 오르는 길을 상징하는 불교적 의미와 더불어 건축미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정교한 석조 기술과 예술적 감각은 당시 신라인들의 높은 석공기술을 엿보게 합니다.
이외에도 불국사에는 다양한 불상과 문화재가 함께 존재합니다. 특히 비로전에는 금동비로자나불좌상이 봉안되어 있으며, 이는 불교에서 지혜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으로, 그 정제된 조각 솜씨와 금속미술의 아름다움이 두드러집니다. 또한 극락전에 모셔진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은 아미타 신앙을 바탕으로 조성된 불상으로, 중생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자비로운 모습이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렇듯 불국사는 단순한 사찰을 넘어, 통일신라 시대의 종교·예술·건축·기술이 총체적으로 결합된 복합문화유산으로, 그 역사적·예술적 가치가 매우 큽니다. 이러한 중요성이 인정되어 불국사는 1995년 12월, 인근의 석굴암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불국사의 의미와 가치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